역사를 구분하는 기준조차 모호한 시대, 웹 3.0에서 마케팅 향기가 난다

역사 공부를 해보신 분이라면, 세계 역사는 원시시대로부터 시작해, 고대, 중세, 근현대로 발전해 왔다고 배웠을 겁니다. 그렇다면, 고대와 중세, 현대를 구분하는 기준은 뭔지 기억하시나요? 기억하신다면 다행인지 불행인지 모르겠지만, 아직까지 딱 이거라고 정해진 기준은 없습니다. 몇 가지 주요 의견으로 정리되어서 학자들 사이에서 대략적인 합의를 이룬 정도라고 보시면 될 거예요. 고대는 문자 발명과 문명 탄생으로부터 시작하고, 중세는 종교, 특히 기독교처럼 제정일치 시대를 벗어난 시대를 말한다고들 하죠. 이런 흐름에 전반적으로 합의는 하고 있지만, 전 세계 모든 학자가 이에 동의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인류 역사가 시작된 지 30만 년 만에 대충 어떻게 시대를 나눠 구분할지 합의가 시작되는 분위기라는 겁니다.

인류 역사를 나눠 구분하는 것도 아직 최종 합의가 안되었는데, 인터넷 시대는 구분이 가능할까요?

이렇게 오랜 역사도 구분이 어려운데, 수억 개를 뛰어넘는 사이트와 셀 수조차 없는 정보가 가득한 인터넷 시대를 구분하고 나누어 설명한다는 걸 저는 믿을 수가 없네요. 그런데, 최근 ‘웹 3.0’이라는 3세대 인터넷 시대 개막이 멀지 않았다며, 전 세계가 뜨겁게 주목하고 있다는 건데요. 반면, 테슬라 CEO인 일론 머스크는 웹3.0이라는 게 존재하는지 알 수조차 없다며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그러자,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실체가 존재한다며 맞서고 있는 상황이죠. ‘웹3.0 시대의 실체’라는 게 있기는 한 걸까요? 아니면 마케팅 용어일 뿐일까요?

#우리가 알고 있는 웹 1.0과 웹 2.0, 그럼 웹 3.0은?

인터넷이 시작되자마자 HTML로 된 웹페이지가 ‘펑’하고 나타난 것은 아닙니다. 인터넷은 그저 군사용으로 개발되었던 네트워크 기술일 뿐이었죠. 그 기술 위에 HTML로 웹을 보여주는 ‘넷스케이프(Netscape) Communicator’와 같은 브라우저가 등장하고, 야후(Yahoo)와 같은 업체들이 접속 주소를 등록 받아 관리해 주었던 시대를 우린 ‘웹 1.0’ 시대라고 부릅니다. ‘웹 1.0’ 시작은 누구든 정보를 올릴 수 있고, 그 지식을 읽음(Read)으로서 습득할 수 있는 ‘정보화 시대’ 시작을 말하는 것과 같죠. 즉, 우리는 이 시대를 ‘읽기의 시대’라고 부릅니다.

‘웹 2.0’은 참여, 개발, 공유의 가치를 적용시켜, 인터넷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는 바로 그다음 시대죠. 구글,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안드로이드까지 누구든 쉽게 정보를 검색하고, 공유할 수 있었어요. 그래서, 우리는 이 시대를 ‘읽고-쓰고-출판하는’ 시대로 부릅니다.

그런데, 웹 1.0과 웹 2.0은 특정한 서비스 플랫폼에 엄청난 돈을 벌어다 주었습니다. 웹 1.0 시대에는 야후를 통하지 않으면, 필요한 웹페이지 주소를 알 방법이 없었죠. 그러니 야후 페이지 메인 광고는 엄청 비싼 가격에 팔렸습니다. 이젠 전 세계 인터넷 사용 인구가 30억 명이 넘죠. 누군가가 남긴 글과 그림과, 영상은 웹을 통해 공유되는데, 이는 데이터 형태로 업체 서버에 저장됩니다. 그리고, 이 콘텐츠로 벌어들이는 수익 대부분은 업체가 가져가고 제작자에게는 수익 일부를 나눠줄 뿐이었습니다. 즉, 공유는 손쉽지만 불필요한 정보는 넘쳐나고, 그 이익은 전부 내 것이 아닌 시대가 온 겁니다. 자유와 평등을 가져오는 인터넷이라고 하더니, 오히려 정보(Info.)와 부(Wealth)의 불평등을 가져온 것이 웹2.0 시대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래서, 일부에서는 웹 2.0 시대는 ‘폐쇄된 플랫폼 시대, 웹 2.0’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그렇지만, 웹 3.0은 특정 플랫폼에 귀속되어 정보가 저장되지도 않으며, 정보 소유권도 해당 서비스가 아니라 개인에게 귀속되는 시대가 될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일명 오픈 스탠더드, 민주화된 인터넷 시대가 온다고 하죠. 블록체인 기술로 분산처리되는 데이터 암호화, NFT 등을 이용해서 모든 정보는 원주인에게 정당한 대가가 지불 받게 될 것이며, 중앙 서버가 아니라 분산된 환경에서 모든 게 처리되기 때문에, 해킹으로부터, 데이터가 사라질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시대라고도 합니다.


세대별 웹 구분 및 특징 웹1.0 부터 웹 2.0, 웹 3.0의 시대별 소통방식, 매체, 운영주체, 인프라, 운영권한 등을 비교 분석했다. 웹1.0 시대는 읽기만 가능하며, 고정된 텍스트 매체가 쓰인다. 운영주체는 기업이며, 개인컴퓨터를 인프라로 사용한다. 운영권한은 탈중앙화이다. 웹 2.0 시대에는 읽기.쓰기가 가능해졌다. 매체 간 상호 콘텐츠가 가능하며, 운영주체는 플랫폼이다. 클라우드.모바일 인프라를 사용하며,운영권한은 중앙화 되었다. 앞으로 다가올 웹3.0 시대의 소통방식은 읽기.쓰기.소유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매체는 가상경제로, 운영 주체는 네트워크이다. 블록체인과 클라우드 인프라가 사용되며, 운영권한은 탈중앙화가 될 것이다.
세대별 웹 구분과 특징

물론, 이러한 구분은 IT 업계에서 대략적이고 암묵적인 합의에 의해서 구분되는 것일 뿐입니다. 아직 웹 3.0에 대한 정의는 딱 이것이라고 내려진 것이 아니거든요. 10년 전만 해도 웹 3.0은 ‘개인화된 검색을 제공하는 시맨틱 웹(Semantic Web)’이라고 정의하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완전한 익명화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대’를 웹 3.0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었죠. 블록체인과 NFT, AI가 주목받으면서 웹 3.0은 이들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가 주목받을 것이라고 이야기하는 것뿐이에요. 웹 1.0과 2.0 시대는 관련 업체들이 모두 유니콘이 되어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 둔 이후에 나온 평가가 결과로 이어진 거였으니까요. 엄밀히 말하면 아직 ‘웹 3.0’은 실체도 알 수 없고, 정해진 것도 아닙니다. 웹 3.0 시대 주인공들이 Google이나 Facebook 만큼 성장하고 나서야, ‘그래 웹3.0 시대는 이런 시대라고 정의할 수 있겠어’라는 말이 나오게 되는 겁니다. 아직, 블록체인과 메타버스 어느 누구도 이 시대 주인공이 되지 못했습니다.

# ‘나의 데이터는 당신 것이 아니다’를 주장하는 웹의 미래

#DeFi
DeFi(Decentralized Finance)는 탈 중앙화, 금융분산된 금융으로 암호화폐 방식을 의미합니다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시대가 되면서 기존 금융기관에 의존하는 중앙 집중형 금융에서 P2P(Peer to peer finance:개인간 금융)로 운영되는 독립적인 금융 서비스가 가능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금리나 환율, 리먼 브러더스처럼 금융기관의 불안정성 같은 것을 피할 수 있죠. 디지털 자산 소유권을 증명하는 NFT, 전자지갑, 코인 거래소를 비롯한 이런 모든 금융 서비스가 디파이(DeFi: DeFi: Decentralized Finance)에 해당합니다.

웹 3.0 가상지갑 사용 추이 단위 :명 5만 4만 3만 2만 1만 0 2017년 7월 0 12월 2018년 6월 12월 2019년 6월 12월 2020년 6월 12월 2021년 6월 4만 3000 자료 : 그레이스케일
웹 3.0 가상지갑 사용 추이

웹 2.0 시대에서는 많은 기업들이 인터넷을 위한 네트워크, 스토리지에 투자했고, 그것을 통해 엄청난 수익과 정보를 독점했습니다. 투자에 따른 정당한 보상임에는 틀림없지만, 디파이(DeFi)가 주도하는 금융업계 변화와 혁신처럼 웹 3.0은 금융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서비스를 바꿀 겁니다.

Web 2.0 기업 vs Web 3.0 프로토콜 (출처: messari.io)
서비스 분류 Web 2.0 Web 3.0
데이터 스토리지&웹호스팅 아마존 웹서비스(AWS), 아마존S3 (Simple Storng Service), 드롭박스(Dropbox Business) 시아(Sia), 파일코인(Filecoin), 아르위브(Arweave)
데이터 프로세싱&인포메이션마켓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 구글(Google) 오션프로토콜(Ocean), 스트리머(Streamer), 이레이저(ERASURE)
도메인 네임 시스템 베리사인(VERISIGN), 고대디(GoDaddy), 아이칸(ICANN) 핸드쉐이크(Handshake),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 언스토퍼블도메인스(UNSTOPPABLE DOMAINS)
애플리케이션(음악/콘텐츠/재능) 스포티파이(Spotify), 미디엄(Medium), 업워크(Upwork) 오디우스(AUDIUS), 미러(Mirror), 브레인트러스트(Braintrust)
Web 3.0 시대 유니콘은 Web 2.0 시대 주인공들을 뛰어넘을 것인가?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인 오디우스(Audius)는 아티스트가 별도 중개 플랫폼에 대한 로열티 없이 스트리밍을 제공해서, 직접 아티스트가 수익을 올릴 수 있습니다. 플랫폼 운영 비용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AUDIO 토큰을 보유하면서 투자되는 방식입니다. 저작 글쓰기 플랫폼인 미러(Mirror)는 브런치(Brunch)와 미디엄(Medium) 같은 글쓰기를 지원하지만, 본인이 쓴 글을 발행할 때 이더리움 기반 NFT로 발행할 수 있는 점이 다릅니다. 쓴 글에 대해 이더리움으로 후원/펀딩을 받을 수도 있죠. 아직은 성공을 예측할 수 없지만, 분명 변화는 시작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플랫폼 HBO에서 방영한 유명 드라마 ‘왕좌의 게임’은 북부와 남부, 이방인들이 왕좌를 차지하기 위해 싸우는 내용의 미드인데요. 황당했던 건 주인공이겠다 싶은 캐릭터가 어느 날 갑자기 죽음을 당하기 일쑤, 드라마 원작자를 살인마라고 이야기할 정도였습니다. 분명 웹 3.0 시대에도 수많은 서비스가 등장하고, 왕좌를 차지하려고 하겠죠. 끝까지 살아남아 성공하는 서비스가 '웹 3.0이란 이런 시대'라고 정의를 내리게 될 겁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역사란 ‘승자의 역사’였습니다.

소셜크리에이터 삼성SDS 조남호(Principle Professional)
공유하기